학술활동         단행본         추천도서

한국 사회와 미디어 공공성 : 쟁점과 전망

 


 


한국 사회와 미디어 공공성 : 쟁점과 전망


 


- 미디어공공성포럼 엮음, 한울 (2012.3.12)


 


소개


 
위기를 맞은 한국 사회 미디어 공공성에 관해 다양한 분야와 차원에서 그 문제와 대안을 찾는다. 미디어 공공성의 개념 정의부터 법과 정책, 산업, 콘텐츠 등에서 나타나는 미디어 공공성 문제, 미디어 공공성의 실천 방안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회 미디어 공공성과 관련해 우리가 꼭 짚어봐야 할 주제를 아우른다.
이 책은 크게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거시적 차원에서 미시적 차원에 이르기까지 미디어와 문화 영역의 공공성의 문제와 실천을 두고 고민한 노작을 실었다. 각 필자는 언론장의 안팎에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정치적·경제적 요인을 진단하며, 이와 동시에 빠르게 변화하는 현실에 관여하는 정보화 기술의 발달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 새로운 매체와 관련한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고찰하면서, 미디어 공공성이 다양한 사회적 주체의 참여와 활동을 매개로 실천되고 적용되는 방안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한다.
언론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 대중부터 전문 연구자까지 두루 읽을 수 있도록, 되도록 쉬운 표현을 사용하면서도 논의의 깊이와 밀도를 잃지 않으려 했으며, 각 장 끝에는 토론거리와 읽을거리를 제시해 대학이나 대학원 수업 교재로도 활용할 수 있게 구성했다.


 
미디어공공성포럼 소개


 


미디어공공성포럼은 2008년 가을에 창립하여 200여 명의 언론학자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시대적 아픔’을 지닌 단체다. 이들은 그간 연구실 안에서만 고민해왔던 미디어 파행에 대해 구체적으로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현실로 눈을 돌렸다. 미디어공공성포럼은 작금의 미디어 현실에 심각한 우려를 느끼며, 미디어 공공성과 문화적 위기, 더 나아가 민주주의의 위기에 귀 기울일 것을 제안하면서 출범했다. 2011년부터는 미디어 공공성 유지와 미디어를 통한 사회공공성 강화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의 공로를 격려하고자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을 제정해 수여했으며, 그동안 MBC ‘PD수첩’, ≪프레시안≫ 경제팀, ‘나는 꼼수다’, ≪시사IN≫ 주진우 기자 등이 이 상을 받았다


 


 


목차 


 


제1부 미디어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성찰과 모색
제1장 미디어 공공성의 철학적 기반을 현실로부터 생각한다 / 강명구
제2장 미디어 공공성, 의미의 지평과 분석의 차원 / 이영주
제3장 미디어 정책의 공공성과 민주적 기획 / 최경진
제4장 공공성 해체의 반장치, (공영)방송이라는 장치 / 전규찬


 


제2부 미디어 공공성의 거버넌스: 법, 정책, 산업
제5장 방송미디어 공공성과 거버넌스 / 최영묵
제6장 미디어 산업, 제도, 법, 정책의 공공성: 시장과 공공성은 선순환할 수 있는가 / 이진로
제7장 한국형 글로벌 미디어 기업 육성론 비판: 착각, 거짓 선동 혹은 가련한 기대 / 정준희
제8장 미디어 관련 법의 현실과 공공성 / 김서중
제9장 디지털 환경에서의 보편적 시청권 / 정인숙
제10장 공직자에 대한 명예훼손, 방송심의: 법과 적용의 문제 / 이승선


 


제3부 미디어 콘텐츠와 공공성의 발현
제11장 미디어 생산자 연구와 한국 언론장의 동학 / 이오현
제12장 텔레비전 오락의 공공성: 즐거움과 욕망의 정치 그리고 공적 가치 / 박근서
제13장 문화적 감수성의 단절과 조우 / 손병우
제14장 대중의 말과 공공성: 매개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말들의 풍경 / 정수영


 


제4부 미디어 공공성의 문화적 실천
제15장 문화적 시민권과 공공성 그리고 문화연구의 만남: 공·사 영역의 이분법 극복을 위하여 / 이희은
제16장 디지털 행동주의와 미디어 공공성: 청소년 ‘참여’를 중심으로 / 정의철
제17장 스마트 시대 통치 성격 변화와 미디어 공공성 실천 / 이광석


 

 첨부파일
2.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