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원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언론정보학회가 2013년부터 매년 개최해 온 <질적방법론 워크숍>이 어느덧 일곱번째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및 문화 현상에 대한 질적 분석이나 질적방법론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을 <2019 한국언론정보학회 질적방법론 워크숍>에 초대합니다. 특히, 질적 분석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많이 참석할 수 있도록 회원님들의 적극적인 소개와 독려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다 음 ▶
1) 일시: 2018년 2월 19일(화) 9:30~18:10
2) 장소: 한국예술종합학교(영상원 L114강의실)
3) 대상: 석박사 과정의 대학원생,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학부생, 기자·피디·작가 등 문화 생산자, 연구자, 질적연구방법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
4) 주최/주관: 한국언론정보학회
5) 세부일정(안)
시간 |
강의자 |
강의주제 |
강의 소개 |
09:30~11:00 |
박혜성 (한예종) |
문화연구자의 예술연구방법 |
문화연구는 반(反) 학문으로 불릴 만큼 제도화된 학문이 아니며, 연구에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 등의 이론과 연구방법론을 들여와 자신의 목적에 맞게 쓰는 연구분과다. 이에 본 강좌에서는 문화연구의 영역에서 예술연구의 목적과 방향성 그리고 분석지점들을 소개하고, 문화연구자가 예술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들을 예술분야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
11:00~12:30 |
조일동 (신한대) |
인류학적 방법론 |
연구자의 연구 소개를 통해 인류학적 방법론의 적용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소개될 연구는 한국 대중음악의 변화를 개인의 역량이나 산업의 차원에서 벗어나 역사적, 사회적 문화변동이라는 측면에서 다시 읽는 시도로, 미국과 한국 사이의 폭력적이고 억압적인 경계로 여겨져 온 미군 주둔지에서 두 문화의 접변이 만든 대중음악의 역동적이고 창조적인 힘에 주목하면서, 이 공간을 횡단한 다양한 물리적 인적 관계가 만들어낸 음악과 문화의 가치와 의미를 탐색하려는 연구이다. |
12:30~13:30 |
점심시간 및 휴식 |
||
13:30~15:00 |
박지영 (서울대) |
디지털 에스노그래피: 디지털 테크놀로지 사용과 일상생활을 이해하기 |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일상생활 면면에 침투하고 인간경험을 구성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면서, 사용자인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만남을 다각도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디지털 에스노그래피는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조건과 환경, 인간,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접점과 그 맥락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유용한 접근법이 될 수 있다. 이 강의에서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일상생활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법으로서 디지털 에스노그래피를 간략히 소개하고 관련 쟁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15:00~15:10 |
휴식 |
||
15:10~16:40 |
김학준 (서울시) |
파이썬을 활용한 텍스트마이닝 |
최근 각광받고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을 활용하여 인터뷰, 대본 스크립트, 웹페이지 등 텍스트를 분석하는 방법과 사례를 알아본다. -텍스트마이닝 이론과 실제 : 의미망분석에서 워드임베딩 까지 -분석 사례 소개 -개발환경 구축 -실습 : code review(*강의장 환경 등을 고려, 강사가 실행한 후 공유한 자료와 코드를 기반으로 수강인원이 자체적으로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