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원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성균관대 글로벌융복합콘텐츠연구소의 요청으로 공동저서 집필진 모집 안내를 다음과 같이 전해드립니다.
◀ 다 음 ▶
성균관대 글로벌융복합콘텐츠연구소 저서 공동 집필진 모집
알고리즘과 커뮤니케이션: 생성형 AI, 알고리즘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전환
최근 생성형 AI 관련 기업들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우리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발전에는 허위 정보, 딥페이크, AI 생성 콘텐츠의 윤리적 문제 등 우리에게 미치는 여러 위협이 동반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생성형 AI와 그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대한 논의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에 있습니다.
저희 성균관대 글로벌융복합콘텐츠연구소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알고리즘과 커뮤니케이션: 생성형 AI, 알고리즘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전환> 주제로 공동저서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참여하여 저서를 집필하실 분들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저희 연구소는 <디지털 혐오와 시민성>, <생성형 AI 시대, 리터러시와 시민성 증진 방안>을 주제로 공동 저서를 출간한 바 있습니다. 이번 공동 저서에서는 다학제적인 연구를 통해 생성형 AI가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기술과 사회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쟁점을 깊이 있게 다루고자 합니다. 저서 형식과 관련하여 이론적 내용뿐만 아니라 데이터 분석, 사례연구 등 양적, 질적 연구 방법론 등 모두 환영합니다. AI 기술의 일상화 속 쟁점화되는 위협들에 관한 연구를 공유하고, 새로운 통찰력과 미래를 위한 생각들을 함께 탐색하여 인간적 커뮤니케이션 회복을 위한 디딤돌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이론, 다양한 방법론에 관해 풍성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회 회원분들의 소중한 지혜를 나눠주시기를 기대합니다. 학회원님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세부 주제 영역 (예시)
- AI와 인간 커뮤니케이션
- AI와 정치 커뮤니케이션
- AI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 AI와 건강 커뮤니케이션
- AI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확장
- AI와 윤리
- AI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다학제적인 접근(예, 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의 활용 등)
- AI 커뮤니케이션 관련 정책 및 법제 이슈
- 청소년과 AI 커뮤니케이션 관련 문제 현황/해결 방안
이상에서 제안된 내용은 가능한 주제의 일부 사례입니다. 대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세부 주제도 가능합니다. (참여하시는 저자께는 소정의 원고료가 지급됩니다.)
※ 진행 일정
2025년 10월 15일까지: 집필 제안서 제출
2025년 10월 20일까지: 연구자 선정 결과 공지
2025년 12월 중순: 집필원고 초고 검토
2025년 2월 말: 집필 원고 수정 검토
2025년 3월 초: 최종원고 완료
2025년 3월 말: 최종 출간
※ 지원 방법
- 제출서류: 집필 제안서(A4 1매) 및 연구자의 간단한 약력
- 제출방법: 성균관대 글로벌융복합콘텐츠연구소(bonnie214@skku.edu) 이메일로 제출
※ 문의
임인재 성균관대 글로벌융복합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 (limij2021@skku.edu)
김혜수 성균관대 글로벌융복합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 (bonnie214@skku.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