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공지사항
1. 회원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언론정보학회는 연속 포럼 <팬데믹과 사회적 가치> 5회 ‘집의 재구성’을 다음과 같이 진행할 예정이오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다 음 ▶
집에서 예술하기: 팬데믹 이후 일상 예술의 실천과 문화적 의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일상 예술 실천은 코로나 이전과 동일한 형태와 의미를 유지하고 있을까? 아니면 달라졌을까? 마지막 포럼에서는 집-공간을 중심으로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이루어진 일상 예술의 반경과 그것의 실천적·문화적 의미를 성찰하고자 한다. 발표자는 코로나를 기점으로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집-공간의 기능이 강화되었음을 지적하며, 이를 통해 관객-예술가-미술관이 예술을 다루는 방식에 있어서 발생한 변화양상을 살펴본다. 한국 국립현대미술관(MMCA)이 마닐라 현대미술디자인미술관(MCAD), 치앙마이 마이암현대미술관(MAIIAM), 홍콩 서구룡지구 M+미술관과 협력 하에 구축한 구독형 아트 스트리밍 플랫폼 ‘원치 앤 칠(watch and chill)’ 등의 사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예술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집의 가능성을 재고하고자 한다.
○ 일시: 2021년 10월 29일 (금) 오후 4-6시
- 발표: 강보라 (연세대 커뮤니케이션 연구소)
- 토론: 박성우 (우송대학교), 방희경 (서강대)
- 진행: 채석진 (시청자미디어재단)
○ 진행 방식: 비대면 온라인 포럼 (zoom: https://zoom.us/j/4243195277)
* 행사 진행 후 한국언론정보학회 유튜브 채널(https://c11.kr/lied)에 업로드 할 예정입니다.
○ 포럼 전체 일정
| 세부 주제 (날짜) | 발표 제목 | 발표자 |
0회 | 기조 발제 (2/ 26 금) | 팬데믹, 인간-환경-기술, 사회적 가치 | 박진우(건국대) 이희은(조선대) 채석진(북한대) |
1회 | 팬데믹과 국가/국민 (3/ 26 금) | 재난과 영광: 팬데믹 시대의 국가 상상 | 이정엽 (독립연구자) |
2회 | 사회적 거리두기와 사회적 정의 (4/ 23 금) | 팬데믹과 성소수자: 공사구분의 정치학 | 한우리 (매사추세츠대) |
3회 | 팬데믹과 자동화 (6/ 25 금) | 인류세 국면 AI 자동화와 산노동의 위상학 | 이광석 (서울과기대) |
4회 | 팬데믹과 돌봄 위기 (8/ 27 금) | 팬데믹, 돌봄의 위기와 그 대안: 아동 돌봄을 중심으로 | 최이숙(동아대) 황선영(서울대) |
5회 | 집의 재구성 (10/ 29 금) | 집에서 예술 하기: 팬데믹 이후 일상 예술의 실천과 문화적 의미 | 강보라 (연세대) |
|
○ 문의: 채석진 연구이사 (stonyjin@gmail.com)
학회 사무국(02-392-4426, kacis@kacis.or.kr)
한 국 언 론 정 보 학 회 장(직인생략)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